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비례식2

[고1 고등수학하] 5. 유리식과 유리함수 (3) 유리함수 지난 단원인 유리식(링크)과 비례식(링크)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했다면, 유리함수를 배우기 좋습니다. (이해가 안됐다면 어려운;;) 유리함수가 뭔가요? 유리함수는 y=f(x)=(유리식)일 때, 유리함수라 합니다. f(x)가 다항식이라면 다항함수가 되는데, 다항함수도 유리함수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주로 배우게 되는 것은 유리함수라기보다는 분수함수입니다. 단원은 유리함수인데, 유리식(링크)은 배웠으니, 함수만 배우면 되겠네요. 함수! 이것만 알면 끝! 함수에서 자주 등장하는 내용들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정의역, 공역, 치역, 그래프 그리기, 점(p, q)이 함수 y=f(x)를 지날 때, 대입하기, 함수와 함수가 만날 때, 연립하기, 두 함수의 교점의 x좌표는 연립방정식의 해, 역함수, 합성함수 구하기.. 2021. 8. 4.
[고1 고등수학하] 5. 유리식과 유리함수 (2) 비례식 지난강의(유리식)에 이어서 비례식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례식은 두 개의 비가 같음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초등과정에서 내항의 곱과 외항의 곱이 같다는 내용도 이미 배웠습니다. 우선 용어부터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a:b 를 비라 부릅니다. 앞의 항은 전항, 뒤의 항은 후항입니다. 읽는법은 'a 대 b', 'a와 b의 비', 'b에 대한 a의 비' 등으로 읽습니다. a는 비교량, b는 기준량입니다. 비는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비에 관련해서 할,푼,리,모 라던지, %라던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우선 비례식부터 살펴봐야겠습니다. 비례식에서는 3가지만 알아두면 됩니다. 1) 내항의 곱과 외항의 곱은 같다. 2) 비례상수 k 3) 가비의 리 1번은 이미 알고 있으리라 믿습니다. 비례상.. 2021. 8. 3.
728x90
반응형